레이블이 Jin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Jin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1월 25일 금요일

[후보이야기 081]Smash the Jinx!!!

지난 Canada 출장을 갔을 때 그 기간 동안 제가 구매했던 Sharkpak 일정에 해당하는 경기가 있어서 원래는 Sharks Home Game을 구경갔었어야 했죠. 하지만, 출장인데 어쩔 수 없는 노릇이잖습니까.. 그래서 가질 못 했었고, 다음날 아침에 News를 보니 0-2로 지다가 3-2로 역전승을 했다더군요. 기가 막히지 않습니까? 제가 표를 샀음에도 못 가니까 귀신 같이 알아서 이기다니... --;

이거 이렇게 Jinx가 길어지니까, 한동안 Home Game을 구경 못 가서 지난 주에 각 Divison 선두들과 계속되는 Home Game임에도 불구하고 겁이 나서 못 갔드랬죠. 뭐 여전히 Home에서는 죽 쓰느라 조 1위에서 조 3위(1위보다 4경기 덜하고 승점은 2점차인)로 떨어져서 오늘 All Star Break 전 마지막 경기 Ticket이 있어서 가야함에도 불구하고 불안 불안했드랬습니다. 

그나마 상대방이 St. Louis Blues로 League 하위권 Team인데, 그런 거 관계없이 자꾸만 져대니까 그냥 또 질까봐 두렵기만 하더군요.


경기가 시작하고 All Star로 선발된 Goalie Nabakov가 선방을 하면서 0:0으로 가까스로 1 Period를 마쳤습니다. 늘 아슬아슬한 경기, 점수가 작게 나는 경기를 하다 보니 어느 Game이나 가장 돋보이는 건 바로 Goalie인데요, 작년에도 Save%가 0.914였는데 올해도 .912로 Team 실점이 2년 연속 5위권 안(작년 5위 경기당 2.40 실점, 올해 4위 경기당 2.35 실점)에 들어서 Team이 계속 고공 비행할 수 있게 해주는데 큰 역할을 한 선수죠.

Nabakov의 선방을 보는 건 좋지만, 그 조마조마함에 늘 불안해 할 수는 없는건데... 문제는 작년보다 1점이상 떨어진 득점력의 빈곤인데... 오늘 드디어 그 득점력 빈곤의 이유였던 Cheechoo가 폭발했습니다. 2005년에는 56득점 93 공격 포인트, 작년에는 69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던 그가 올해는 Season 반이 지났는데도 달랑 14 공격 포인트로 팀의 1st 공격 Line으로서의 막중한 책임을 못해 줬는데... 오늘은 Powerplay Goal만 2개 기록하면서 부활의 신호탄을 올렸죠. 

몸을 아끼지 않고 전방 Press를 가하는 Cheechoo.

Cheechoo와 같이 오늘 1번 공격 Line으로 나선 Michalek과 Big Joe도 각각 1득점 2 Assist, 3 Assist를 기록하면서 1번 공격 Line에서 3점이나 뽑아주니, 경기는 수월 그 자체. 3번 공격 Line에서도 Powerplay에서 중거리 Shot으로 1점을 올리면서, 결국 4득점이나 올려서, 오늘 온 관중들은 모두 공짜 Pizza를 얻는 Bonus 기쁨도 가졌답니다. 점수차가 벌어지자 신경질적으로 Dirty하고 Unsportmanlike Play를 펼친 St. Louis 때문에 싸움도 많이 일어났는데요...

Setoguchi가 선빵을 날렸습니다 음하하하하...

어쨌든 3-0까지 치고 나가면서 맘 놓고 'We Want Pizza'를 외치면서 질 걱정 안하고 맘 편하게 경기를 보고, 거기다 그 지긋지긋한 Jinx마저 끝내 버리니 기분 죽이더군요. 거기다가 조 1,2위를 달리더 Dallas와 Anaheim이 모두 패하면서 모두 승점은 똑같지만, 경기 수가 다른 두 Team에 비해 각각 4경기, 3경기를 덜한 Sharks가 조 1위로 올라서면서 All Star Break를 맞이하게 되는 겹경사까지.

음하하하.... 이제 Jinx가 끊어졌으니 앞으로는 연승으로 주~~~욱 달려나가면 될 거 같네요. Playoff가 기다려집니다. 


It's the Sharks Territory!!!!

2007년 12월 22일 토요일

[후보이야기 077]징하다, Jinx!!!


Holiday Season이라고 한 달 내내 노래를 부르니 일할 맘은 안 나고, 장비 구입 및 관련 Training 때문에 정작 X-mas과 New Year's Day고 어딜 갈 수 없는 처지가 되어서리(뭐 결국 1월 중순에 Canada 찍고 Texas를 들리게 되었지만), 뭐 할 거 없나 뒤지다가 결국 Sharks Home 경기를 보러갔다. 22일 이후로는 내년까지는 계속 원정이라, 뭐 올해 가기 전에 승리의 기쁨을 맛 보자는 생각도 있었고.. 거기다가 상대는 최근 상대전적에서 3번의 Shutout(무실점 승리 경기)을 해냈던 Phoenix Coyotes. 거기다 이 3번의 Shutout을 제외하고도 가장 최근에 Coyotes한테 패한게 작년 이맘때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8연승 중) 강했던지라, '오늘은 기필코'라는 마음에 표를 잽싸게 구해서는 경기를 보러 갔다.

3번의 영봉패를 당했던 Coyotes인지라 엄청나게 Aggressive하게 경기를 운영했다. 반칙에 의해서 2분간 퇴장을 받는 Minor Penalty에 의해 선수 한 명이 모자란 상태에서도 공격적으로 수비해서는 Sharks의 Power Play(선수 숫자가 앞서는 상황)를 잘 막아 냈다. 실제로 이 날 경기에서 Sharks는 9번의 Power Play 기회에서 단 한 번 성공했다. 그것도 5분 Major Penalty와 2분 Mino Penalty가 Coyotes에게 주어져서 가지게 된 Game 중 유일한 5:3 상황의 Power Play에서 득점을 했을 뿐, 5:4의 일반적 Power Play에서는 득점을 전혀 못했다. (Power Play를 당하는 Team 즉 Short-handed Team의 경우 실점을 하게 되면 Penalty 받던 선수는 즉시 Penalty가 해제된다). 즉, Game에서 60분 Game에서 적어도 1/3(계산상 23분, 그러나 겹치는 상황이 있으니 20분 정도)을 한 명이 많은 상태에서 Play했음에도 정규 시간 동안의 결과는 2:2 무승부였다.

오히려 1, 2 Period에는 Goalie Nab(정말 눈부신 선방의 연속이었다. 이날도 Shutout 기록을 이어 나가는 줄 알았다)의 선방이 아니었음 오히려 지고 있었을 경기였을 정도로 Coyotes가 잘했다. 결국 그 흐름은 3 Period 시작하자마자 점수를 주면서 Shutout 기록도, 경기도 잃어 버리는가 싶더니, 이후 10분 동안 2 득점(Power Play 1득점 포함)해서는 2:1로 역전하고는 Game은 채 1분도 안 남은 상황으로 갔다. 여기서 또 Coyotes의 반칙으로 Sharks가 Power Play를 하게 되서 '이거 이겼구나! 드디어 이겼구나!' 했더니 그 40초를 못 버티고는 Short-handed Goal(이번 Season 세번째 허용한 Short-handed Goal)을 주는 바람에 경기는 2:2로 비기고 결국 연장 5분에서도 승부를 못 가리더니, Sharks가 정말 못하는 Shoot-out(축구의 승부차기 같은 거)에서 지면서 결국 2:3으로 패했다. --;

정말 징그럽기 그지 업는 Jinx이다. 이 Jinx 때문에 (악이 바쳐서) 더 Sharks를 좋아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뭐 굳이 비교하자면 2002년 전의 Red Sox Fan 입장이라고 해야 되나... 내가 안 가면 승승장구인데, 내가 가면 지니까... 뭐라고 해야 되나 내가 가는 경기가 꼭 Playoff나 WS 경기가 된 느낌. 뭐, 억지스런 비유긴 하지만... 암튼 하고 싶은 말은 자꾸 보면서 자꾸 가서 봐서 그런지 Hockey라는 게 정말 좋아지고 있는데(축구나 농구는 한 두번 가도 그닥 안 땡기는게... 확실히 비교된다) 거기에 뭔지 모를 아쉬움이 더해지니까 더욱더 갈증이 난다고 해야 되나...

@어제 경기도 공격이 좀 그랬지만, 왠만한 볼거리는 다 있었다. 1대1 싸움도 있었고, 5대5 패싸움도 있었고... 물론 싸움에서는 전부 Sharks가 Coyotes를 Knock Down!!! 뭐 Sharks가 넣었으면 더 좋았지만 Short-handed Goal도 보고... 

@정말 22일에 또 쳐들어 가 버릴까... 작년 우승팀이랑 경긴데... --;

2007년 12월 17일 월요일

[후보이야기 076]Epstein Jinx(?)

어렸을 때부터 뭔가 무서운 걸 잘 못 봤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심장 떨리는 거... 가슴 졸이는 순간을 잘 못 참는 편이었죠. '전설의 고향' 같은 걸 볼 때 음악 깔리고 분위기로 감으로 뭔가 심장 떨어질만한 순간이 다가오면 이불 속으로 몸을 숨기고 엎드려 눈만 빼곰이 내놓았다가 딱 등장하려는 순간 이불을 뒤집어 쓰고는 그 Image를 안 보려고 한다든지... 뭐, 이불 같은 게 없으면 눈을 지그시 감고 귀를 막아버렸죠.

눈 가리고 있는데 누가 옆에서 아우~~ 하면 무섭습니다. 
하지만 누가 눈 가리고 아웅하면 살인 충동을 느낀다죠.

이게 이런 공포 영화 뿐만이 아니라, Sports 경기 같은 걸 볼 때도 마찬가지가 되더군요. 중요한 승부처가 되고 손에 땀을 쥐게 되는 순간이 되면 왠지 심장 박동수 빨라지고 호흡이 가빠지고 왠지 엄청나게 불편해지더라는 거죠. 마치 '전주'가 깔리면 귀신이나 선혈이 낭자한 희생자가 등장할 거라는 걸 상상하듯이 말이죠. 그리고 그렇게 가슴 졸이면서 결국 보고 나면, 이상하게도 좋은 결과를 가져왔던 기억은 없었습니다. 어린 마음에 그게 상처가 되서, 중요한 경기-라고 해 봤자 Olympic이나 Asian Game이었겠죠. 살인마의 3S 정책으로 그런 행사는 밤새서라도 봐야 하는 게 당연했던 시절이었으니까요-를 할 때가 되면 가슴 졸이는 것도 싫었고, 또 결과가 나쁘면 기분도 나쁠 거 같아서, '내가 보면 지니까, 안 볼래'라면서 TV 소리가 들리지 않는 제 방에 가서 혼자 어케 되었을까 맘 졸였던 기억이 납니다. 오죽하면, 88 서울 Olympic 때 대회 며칠 째 No Gold라고 방송에서 하도 징징대서리 Wrestling의 김영남 선수가 결승전할 때, 처음 2분을 보다가 Passive 당하게 되는 걸 보고, '내가 이거 계속 보면 지니까, 그럼 이거 애국하는 거 아니잖아'라면서 눈귀 틀어먹고 방으로 갔겠습니까. (정말 세뇌교육 무섭네요. 갓 중학교 입학한 놈이 무슨 TV 안 보는 이유에 애국 타령인지)

전 눈 가리고 경기도 못 보는데 이 친구는 눈 가리고 경기를 직접 뛰는군요.

우찌 되었든 제가 눈 가리고 안 봐서인지 아닌지랑은 전혀 상관없이 김영남 선수가 금메달을 수상했습니다만, 전 이 때부터 제가 보면 뭔가 안 된다는 생각에 왠만하면 이후로는 한동안 Sports 관람은, 특히나 국가 대표 선수들 경기 보는 건 금했답니다. (그러고 보면 90, 94 WC 때는 불문율을 깨고, 잠 안 자고 봤으니, 축구 Fan들에게는 제가 원흉일지도) 
88 Olympic 당시 김영남 선수.

난 내가 눈 가리면 다들 이렇게 기뻐할 줄 알았다. 퍽!

뭐, 물론 나쁜 기억만 오래 남으니까, 솔직히 제가 봤어도 이겼던 경기도 꽤나 될 겁니다. 하지만, 저란 놈이 원래 그래서 안 좋고 나빴던 것만 기억하는 염세주의, 패배주의 적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 해 도대체 제가 봐서도 이겼던 경기들은 그닥 기억이 안 나네요. 쿨럭... 아마, 제가 봐도 이겼던 경기는 아마 그닥 열광적으로 응원했던 Team이 아니었다든지, 그랬을 겁니다.

한 동안 딴 짓거리(학교/직장) 때문에 Sports 경기를 보는 건 못 접하고 살다가, 미국 오기 전부터 약간의 여유가 생겨서 최대한 즐기려고 노력하고 있는데(Season Ticket의 1/4 정도 되는 Package 상품을 산 Team이 벌써 3개니), 요즘 이걸 보러 다니면서 다시금 저한테 걸린 저주를 떠올리기 시작했습니다. 

4개 Major Professional Sports League 소속 Team으로는 San Jose에 유일한 NHL San Jose Sharks의 10 Game Pack이란 걸 사서 열심히 다니고 있습니다. 작년에 West Conference에서 5위를 해서 나름 Playoff에 진출 Round까지도 진출했던 잘 하는 Team인지라, Season 중에도 즐기고, 잘 모르던 Ice Hockey도 배우고, 잘 되면 Playoff의 광란적인 분위기도 즐겨보자고 생각해서 10 Game Pack을 샀는데 말이죠.


일단, Playoff의 광란적인 분위기는 즐길 수 있을 거 같습니다. Season이 반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Divison 1위 Conference에서는 2위를 Rank 중이니 왠만하면 Playoff에 진출하리라고 보여집니다. 근데 이렇게 성적이 잘 나오는 Team을 응원하는데 그럼 보러 갈 때마다 이겼지 않았냐고 반문하실지 모르겠지만, 천만의 말씀입니다. San Jose Sharks는 현재 NHL 전체를 통틀어 원정 경기에서 가장 강한 Team입니다. 12승 3패 2연장패(승리하면 승점 2, 연장 패하면 승점 1)로 승점을 원정에서 26점을 획득했습니다. 하지만, 전체 승점이 40점이니 이는 Home에서는 14점밖에 못 얻었다는 사실(6승 7패 2연장패)이죠. 근데, 말입니다. 더 웃기는 건 제가 관람한 경기의 승률과 아닌 경기의 승률은 All or Nothing이라는 겁니다. 제가 구경 간 Home 경기 4경기 전패(1 연장패 포함)이지만, 제가 안 간 경기는 무려 6승 4패 1연장패라는 겁니다. 제가 본 경기에선 승점 달랑 1점 획득하고 제가 안 보거나 볼 수 없는 경기에서는 무려 39점이나 땄다는.... 집에 NHL 전문 방송이 나오지 않으니... 이거 정말 제가 가면 지기만 한다는 생각을 하면 응원해야 하나 싶기도 하고... 경기는 정말 재밌고 볼만한데.. 늘 지니 말이죠. (솔직히 Ice Hockey가 이렇게 재밌는지는 몰랐습니다)

다른 Sports로도 눈을 돌려 보니 정말 제가 직접 가서 본 경기의 승률은 처참하더군요.
MLB - 
SF Giants: 올 초 LA Dodgers와의 Home Opener Series에서 내가 간 경기는 패배. Dodgers를 응원하느니 Giants였음.
Braves vs. Giants: 2승2패, League 최하위 수준인 Giants에게 아무리 원정이라지만 2승 2패라니.. 뭔가 억울.
Braves vs. Mets (in ATL): 3연패 Sweep. 아... 다시 생각해도 열 받는다.

NBA
GS Warrios vs. Cleveland Cavaliers: 이 경기 지면서 개막부터 5연패인가 6연패로 기억. GS Warriors.
LA Lakers vs. GS Warriors: Kobe 응원하러 가서 Lakers 이기라고 응원했는데(속으로만) 결국 Warriors에게 덜미.

뭐... 이렇게 되니, 사 놓은 다른 Season Ticket도 걱정이 됩니다. 안 그래도 올해 지구 꼴찌 할 게 뻔한데...

아 정말 Epstein's Jinx는 징하게 계속 되는 걸까요? 그래도 한 번 직접 가서 보기 시작했더니 집 구석에 앉아 TV로 보는 건 정말 맛이 안 나는데 말이죠.

니 Team 중 한안 된 거만 생각나는 금메달을 수상했습니다만, 전 이 때부터 제가 보면 뭔가 안 된다는 생각에 왠만하면 이후로는 한동안 Sports 관람은, 특히나 국가 대표 선수들 경기 보는 건 금했답니다. (그러고 보면 90, 94 WC 때는 불문율을 깨고, 잠 안 자고 봤으니, 축구 Fan들에게는 제가 원흉일지도)

20241130 한국전력 - 경품 당첨

 V존인가 예매했다가 승리해서 추첨으로, MVP의 싸인볼을 받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