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2016-17 시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2016-17 시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9월 25일 일요일

3 on 3 연장전


이번 2016-17 AHL 시즌에서는 NHL처럼 연장전에 돌입할 경우, 기존의 4 on 4가 아닌 3 on 3를 도입했습니다. 사실 NHL에서도 4 on 4만 봤었고, 3 on 3는 리플레이로도 풀영상으로 본 적이 없어서(다 그냥 득점 장면 하이라이트를 봤던지라) 어떨지 궁금했었습니다.

오늘 대명 킬러웨일즈와 닛코 아이스벅스의 시즌 첫 경기에서 그 궁금증(?)이 일부 풀렸는데요. 일단 게임은, 그래도 AHL 선배인 닛코가 개인기를 바탕으로 2:0으로 1P에 앞서 나갔는데, 생각보다 빨리 만회골을 넣으면서 1:2로 따라갔지만, 곧바로 실점해서 1:3.... 그래서 어렵나 했는데, 3P에 재정비하고 와서는 거의 마지막 10분은 계속 몰아치더니 3:3 동점을 기어이 만들더군요. 그러고는 더 몰아치면서 시즌 첫 정규시간 승리를 거두내 했지만, 아쉽게도 연장전을 들어갔습니다.

원래 5명의 플레이어와 1명의 골리로 하는 아이스하키이지만, 정규시즌의 연장 경기에서는 5분의 연장전이 펼쳐지는데, 작년까지는 4명의 플레이어와 1명의 골리였지만, 올해부터는 NHL처럼 3명의 플레이어와 1명의 골리가 치루게 되었습니다.

NHL은 4 on 4 일 때도, 아이스하키 원래 규격보다 조금 작게 링크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게 공간이 더 생긴 느낌도 없었고, 원래 3명의 공격수와 2명의 수비수에서 공격수 하나만 줄여서 하기 때문에, 그닥 공격적이란 진행된다는 느낌이 없었습니다. 뭐, 이건 제가 주로 본 Sharks의 하키 스타일일 수도 있지만요. 근데, 규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AHL이지만, 게임 스피드가 좀 느린 편이고 똑같은 공격 2, 수비 2인 구성이라 사실 연장에 1명의 플레이어를 뺀 의미-이른 바 승부를 내겠다는-에는 그닥 부합해 보이지 않았는데요.



위 사진에서 보시겠지만, 3 on 3는 정말 공간이 많이 생기더군요. 그런 만큼 1명의 플레이어가 돌아다닐 공간이 많이 생기니 지역방어를 쓰면 그냥 연장 5분 내내 한 팀만 공격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원래 아이스하키는 기본적으로 농구의 3-2 지역 방어 형태에서 퍽을 가진 선수에 가장 가까운 선수나 골리 근처에 위치한 포워드에 대해서는 강력한 맨투맨을 펼치는 게 보통인데요. 이게 파워플레이나 연장 같이 4명이 수비해야 하는 경우에는 박스형태 즉, 앞에 2명 뒤에 2명의 형태가 되어서 Zone Defense가 기본이 됩니다.
근데, 3 on 3가 되면 일단 선수 구성이 또 공격수를 빼서 1명의 공격수, 2명의 수비수가 될 수도 있지만, 2명의 공격수, 1명의 수비수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수비가 어찌 될 지 궁금했는데, 지역방어로 상대 플레이어를 자유롭게 풀어버리면 계속 수비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서인지 맨 투 맨으로 바뀌더군요. 그렇다 보니 퍽 핸들링이 좋은 선수가 계속 몰고 움직이면 그냥 그대로 따라갈 수 밖에만 없더군요. 결국, 슛이 나와서 리바운드를 따 내거나, 몰고 있는 퍽을 뺏지 않는 이상은 공수가 바뀌지 않는... 근데, 슛 리바운드를 수비 팀이 획득하게 되면, 스피드가 앞서는 경우에는 정말 멋진 역습 찬스도 나오더라구요. 3 on 3가 되면서 정말 연장전의 의미를 제대로 살린 느낌이었습니다.

경기는 아쉽게도 3 on 3도 승부를 보지 못해 승부치기를 통해 안타까운 패배. 대명은 또 승점 1점만 획득하는데 그쳐야 했네요.

@다음 날인 일요일 경기, 그니까 글 쓰는 시점에서 오늘 경기에 6:3으로 정규 시간 승, 즉 승점 3점을 획득했네요. 6강을 다투게 될 거라 생각되는 Icebucks로부터의 승리라 더욱 값진 거 같습니다. 대명 창단 첫 승점 3점 승리 축하해요.

2016년 8월 31일 수요일

Hockey or Fight

다른 시즌보다는 조금 일찍 개막한 2016-17 시즌 AHL. 

상무를 스폰서하던 대명 그룹이 아예 신생팀을 창단하고, 일단 인천에 프랜차이즈를 세우고는 AHL의 새 멤버로, 작년 시즌 통합 우승팀이며 사실상 대한민국 국가대표 아이스하키 팀이자 명실상부 AHL 최강인 안양한라랑 개막 3연전을 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주말 2 경기는 가 보지 못했지만, 6-3, 9-0으로 안양 한라가 이겨서, 뭐 3차전도 안양 한라가 이기겠거니 했지만, 그래도 제대한 김범진 선수라던지 혹시나 엄현승 골리가 선발로 나올래나 싶기도 하고, 어쨌든 신생팀인 인천 대명 킬러웨일즈가 궁금해서 아이스링크를 찾아 가 봤드랬습니다.

일단, 안양 한라랑 마찬가지로 용병(아, 안양 한라의 달턴은 이제 귀화했구나)으로 골리를 구한 대명이었는데, (이름이 가물가물한데) 이 골리 아니었으면, 3차전 역시 9-0보다 더한 결과가 나왔을 정도로, 대명 골리의 선방이 대단했습니다. 계속해서 대명 쪽에서 퍽이 돌고 있는 상황에서 어케든 막아내고 하는데.... 몇 번의 Penalty Kill 상황에서도 잘 막았지만, 계속 두들겨 대는데 장사 없다고 Penalty Kill에서만 2 Goal을 주더니 결국 3P 마지막에는 깔끔하게 골을 내주는... 그래도 One Side 하게 밀렸던 경기를 감안하면 4점으로 막은 건 완전히 골리의 힘이었다고 보여지네요.

안양 한라는 기존 멤버가 그대로 유지된대다가 대명 상무에서 제대한 김상욱 선수가 더해지면서, 계속 손발을 맞춰왔던 조직력에, 강력한 Forecheck로 대명이 제대로 공격에 나서질 못하게 막으면서 대명의 수비 존에서 퍽을 뺏어서 공격권을 계속 유지하는 강력한 모습을 보이더군요.

그에 비해, 김범진 선수는 부상인지 보이지 않고, 그나마 AHL에서 뛴 경력이 있는 오현호 선수랑 오광식 선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지난 2경기 동안 안양 한라의 힘에 주눅이 들었는지, 몸도 무거워 보이고, 안양 한라의 강력한 전진 수비에 퍽을 줄 곳을 찾지 못하다가는 자꾸 턴오버를 범하더군요. 용병 공격수(89번) 혼자 어케든 뚫어보려는데, 받혀줄 선수가 안 보이더군요. 작년의 대명 상무보다도 공격력이 더 나빠 보였을 정도.

www.winternewskorea.com 에서 가져왔습니다. 저작권은 해당 사이트에 있습니다.

3:0으로 마무리 되어 가던 안양 한라의 승리가 거의 확실시되던 3 피리어드 종료 2분여를 남기고, 안양 한라의 안정현 선수와 대명 킬레웨일즈의 이승원 선수가 싸움이 붙게 되었습니다. 원래 AHL에서는 싸움이 나면 바로 말리는지라 금방 끝나나 싶더니, 심판에 의해 Penalty Box로 이동하나 싶던 안정현 선수가 갑자기 대명의 박기선 선수에게 다시 달려들면서, 이번에는 마치 NHL 처럼 두 선수가 넘어져 쓰러질때까지 싸움을 방치하더군요.

각 선수들에게 Major Penalty 등이 주어지는 상황에서 양 팀 벤치 간에도 관중석에 들릴 정도로 욕설과 고성이 오가더니, 결국, 교체로 투입된 대명의 박태환 선수가 속개된 경기에서 게임 진행과 상관없이 안양 한라의 김현수 선수와 다시 싸움이 붙고, 이를 말렸지만 또 다른 선수와 싸움이 나면서 결국 게임 퇴장이라는 Penalty를 받았죠.

게임은 한동안 중단되었고, 양팀 코칭스태프 간에, 외국인 선수와 상대팀 감독 사이에 Trash Talk이 이어지면서 볼쌍사나운 장면도 나왔는데요...

끈끈하고 파이팅 넘치는 경기를 보이겠다는 대명 송감독의 포부는 현재로써는 일단 스케이팅이나 퍽 핸들링에서의 실력 차를 메꾸기 전까지는 그냥 성질만 부리는 Bad Boys로밖에 보이지 않을 거 같네요. 다음 일정은 사할린 원정인데... 일단 빨리 수비 조직력이라도 맞추는 것이 중요해 보이는 경기였습니다.

20241130 한국전력 - 경품 당첨

 V존인가 예매했다가 승리해서 추첨으로, MVP의 싸인볼을 받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