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더스틴 니퍼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더스틴 니퍼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1월 3일 목요일

KBO 사상 최강팀 2016 두산 베어스



올해 잠실 직관 정규시즌 성적

- 30 경기 관람, 20승 10패.

올해만큼 맘 편하게 시합을 본 적이 없는 듯. 물론 10패를 할 땐, 진다고 쌍욕을 하긴 했지만, 져도 1등이었는 걸. :)

그리고 2년 연속 No Hitter 경기도 보고, 그 투수가 중간에 짐싸고 가지도 않고 오히려 팀의 외인 듀오로서 잘 지내줬고.... 용병 타자도 잘 하고, 현수 나간 자리도 잘 메우고.... 현수도 MLB에서 잘 버티고...

야구를 목숨 걸고(^^) 보기 시작한 이후 이렇게 즐거운 시즌은 없었던 듯.
영원히 이랬으면 좋겠네요.

아, 그래도 정규 시즌 1위를 하니, 포스트 시즌을 Korean Series 하나만 보려니 참 심심하긴 했어요. 뭐, 물론 Sweep이라는 강력한 모습을 보니 좋긴 했지만요.

아래는 2016년 Mighty 두산 베어스의 성적입니다. ㅎㅎㅎㅎ



====정규 시즌=====

93승 1무 50패 (KBO 역대 단일 시즌 최다승)

2위 NC와 9경기차.

21년만에 정규 리그 1위 달성

팀타율 1위(.298), 팀 출루율 1위(.378), 팀 장타율 1위(.473), 팀 OPS 1위(.851), 팀 홈런 1위(183), 팀 방어율 1위 (4.46), 팀 선발 방어율 1위(4.11), 팀 선발승 1위 (75승), 팀 QS 1위 (75회), 팀 수비율 1위(.986)

선발 4인방, 이른바 Fantastic 4가 모두 15승. 니느님께서는 22승으로 다승 1위, 방어율 2.95로 규정이닝 달성 투수 중 유일하게 3점 아래로 방어율 1위.

타자 5명 홈런 20개 이상.

====Post Season=====

NC 상대로 Korean Series 4전 전승.

팀 창단 후 5번째 KS 우승. (1982, 1995, 2001, 2015, 2006)
팀 창단 후 첫 KS 2연패 (2015, 2016)

역대 단일 한국시리즈 최소 실점 신기록 및 최저 평균 자책점
- 2실점 / 평균자책점 0.47
* 종전 5실점 / 평균자책점 1.15 (2005년 삼성)

니퍼트, PS 최다 연속 이닝 무실점 신기록 : 34.1 이닝 (15.10.10 잠실 넥센전 7회 이후, 아직 이어지고 있음)

보우덴, 개인 한 경기 최다 탈삼진 11개 달성 (3차전)

이현승, 역대 KS 최소타자 상대, 최소투구 승리투수 : 1타자 / 4구 (1차전)

오재일, KS 최초 끝내기 희생플라이 (1차전)

판타스틱 4, KS 성적.
3승 (니느님만 승이 없어), 방어율 0.31, 1실점 (장원준만 1실점),
투구 이닝 29 1/3이닝 (니느님 8 0/3, 장꾸준 8 2/3, 보우덴 7 2/3, 유희왕 5 0/3)

=========================================
네이버에서 관련해서 최훈 카툰과 야덕일지를 퍼옵니다. :)





















2015년 11월 6일 금요일

4번째이자 첫번째 우승. 2015년 Champ 베어스!

14년만의 우승. Underdog이었던 두산 베어스가 2015년 타이어O뱅크 KBO 리그의 대단원의 마지막인 코리안 시리즈에서 4승 1패의 성적으로 삼성 라이온스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무려 4일이나 지났지만, 그 날의 일을 생각하면 아직도 가슴 벅차고 눈가가 촉촉해지는 건 내게 이 우승이 너무나 특별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내가 응원하는 팀이 우승하는 걸 직접(직관이든 중계로든) 우승하는 걸 보는 기쁨. 뭐 그게 그리 대단할까 싶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팀에 대한 애정도 애정이겠지만, 처음이라는 게 가장 크지 않았을까 싶다. MLB의 Braves도, AHL의 안양한라도 다들 내가 좋아하기 시작한 무렵에는 이미 우승을 했었고 그 뒤에는 한번도 우승한 일이 없고, SJ Sharks는 우승한 적도 없고...

베어스는? 물론, 이번 우승으로 베어스는 80년대('82 원년), 90년대('95), 00년대('01), 10년대('15)에 한 번씩 우승한 유일한 Team이 되었는데 (이게 가능한 다른 팀은 KIA가 유일하다) 사실 이전의 3번의 우승은 내 인생에 있어서 그렇게 의미가 큰 사건은 아니었었다. 

서울이 아닌 부산에서 자란 나는 대전과 서울을 홈으로 한 베어스 경기를 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제는 익숙한 박철순의 호투와 신경식의 다리찢기도 82년 당시에는 서울국제야구대회에 출전한 최동원만을 바라보는 동네 아재들과 스머프 옷을 입고다니는 동네 친구들 사이에서는 얘기거리가 되지 않았으니까. 그냥 단순히 아버님의 직업이 OB맥주와 관계가 있어서 OB 어린이회원이 되었던 건 뿐. 


95년 시즌은 고교 동기들이 자기들이 응원하는 팀이 시즌 내내 그리고 포스트 시즌 올라간다면서 난리 피우는 통에 곁다리로 보니 베어스가 항상 그 위에 있었던 거였고, 그렇게 동기들이 다른 팀 응원하느라 틀어놓은 TV 앞에서 17:1로 다구리 당하면서 본 우승이었다. '01년 우승은 대학원 생활이 힘들어 야구를 거의 안 볼때여서 사실 우승한 줄도 몰랐었다. 

그러던 내가 어찌 되었든, 한 6~7여년 간 집과 회사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 야구장일지도 모를정도로 애정을 쏟았었는데, 그 애정, 아니 애증이 쌓인 상태에서 올해의 우승을 보게 되었으니...

그리고, 확실히 직관을 하다보면 집에서 중계나 글로 보는 것보다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이 가는 건 사실인 거 같다. 이제는 더 이상 멀티태스킹이 안 되기에 집에서는 중계나 글을 보더라도 다른 일과 병행하는 것이 힘들어서 결국 다른 일로 관심이 빼앗기고 마는데, 야구장에서는 적어도 욕을 할지라도 야구 보는 거 빼곤 할 일이 없으니까...

약 3년간의 미국 체류를 하면서 야구와 아이스하키 직관을 하며 현장에서 느끼는 또다른 차원의 감동에 익숙해지다보니 결국 베어스 야구와 7년간 시즌권이라는 인연을 맺게 되었고.. 그러면서 너무나 정이 들어버린 모양이다. 

내가 목숨걸기 시작한, 귀국후인 2010년 시즌보다 먼저인 2005년 이후 치뤄진 포스티 시즌 , 전체 경기가 160여경기였건만, 그 중에 베어스가 치룬 경기는 무려 반이상인 80여 경기. 즉, 2000년대 후반부터 KBO를 양분해왔던 삼성과 SK가 늘 KS 직행하며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 그 나머지 한자리는 어렵게 어렵게 준플 플옵을 거쳐 올라간 베어스의 몫인 경우가 많았다. 그 수많은 경기를 통해 환희의 순간도 주었지만, 늘 마지막은 열심히 싸웠지만 안타까운 패자여야만 했던 베어스. 오죽하면 우승이 아니라 멋진 경기를 보여달라고 그랬을까. 어쨌든 그래서 더더욱 더 끊지 못했던 것일수도.


그 과정에서 응원하던 감독과 선수들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타팀으로 이동하면서 상처를 남겼고, 떠나버린 빈 자리를 메꾸려고 자주 바뀌는 선장 아래서도 묵묵히 견뎌주면서 커가는 애기곰들이..... 좌충우돌하며 일수강점기까지 겪어가며 성장통을 겪어 왔던 걸 보다 보니, 이 놈들이 고생해서 이제야 그 보상을 받는게 아닌가 싶어 더 감동 받은 게 아닐까 싶다.

사실 올 시즌 성적만을 보면 정규시즌 5연패의 삼성이나 외인용병 셋과 타팀에서 보상픽으로 타팀선수 잘 뽑아오면 얼마든지 우승후보가 될 수 있는 걸 보여준 2위 NC는 물론 홈런공장장에 확실한 에이스가 있는 넥센하고 비교해도 우위에 있다 얘기할 수 없을 정도였다.

하지만, 역시 야구는 투수놀음이고, 전쟁은 기세싸움이었다. 우리에게는 김병현이 끝내기 홈런을 2경기 연속 준 것으로 가슴 아파하는 2001년 World Series에서 누가봐도 전력 상 우위인 Yankees를 잡은 건 당대 최고의 좌완 Randy Johnson과 우완 Curt Schilling을 앞세워 4승을 챙겨간 D-Backs 였다는 걸 떠올려보면, 시즌 내내 영면하셨다가 포스트 시즌 한달간 부활하신 니느님과 타자들의 점수지원 따위는 아랑곳 않는 84억 FA 장원준이 인생투를 던지고, 10억 군인이라 한 때 비아냥 받았던 이현승까지 뒷문을 꽁꽁 닫으면서 중간계투 따위 필요없는 2장 야구를 벌이니 방망이만 믿고 믿을만한 선발은 달랑 하나밖에 없게된 넥센과 삼성을 의외로 간단하게 물리쳐 버렸다는.... 쳐 볼테면 쳐보라는 식의 빠르고 강한 승부에, '아, 난 원래 투수전을 좋아했지'라며 1구1구에 환호를 보태며 감정선을 끌어 올렸던 것도 있었고...



역사에 남을 7점차를 뒤집은 준플 4차전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똑같이 선발 2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불펜 포함 투수력이 더 좋은 NC에게 3차전마저 처참할 정도로 폭격 당하고 졌을 때는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을 때, 4,5차전의 승리는 너무나도 달콤했었다. 3일만의 등판에서도 여전히 은혜로운 니느님과 14점 패배 따위는 엿바꿔 먹어버리는 어린 타자들의 멘탈 갑.

솔직히 KS는 뭐랄까, 그간 고생한 모든 베어스 선수들이 다 빛나 보인, 나에게는 보너스 타임이자 힐링 타임이었다.

이제는 더이상 후보가 아닌 팀의 주축이 된 우리 90라인들. 특히나 수빈이의 남자가 아니라 진정한 가을남자, 칠못쓰의 경민이.


늘 성실하고 팀의 구심점이 되어주는 너무나 착한 재호.



10억군인이 아니라 효주 아빠이자 든든한 뒷문지킴이가 된 현승이


2년간의 방황을 이겨내고 인생투를 보여준 경은이


그간 후배들에게 자리도 빼앗기고 맨날 2군과 벤치만 오갔지만, 5차전에서 적시타와 변태주루의 정수를 보여준 고젯.


포스트시즌 트라우마를 없애며 이젠 진정한 팀의 핵이 된 맹구


지난 7~8여년간 고생했던 아이들 모두 너무 잘해줘서 더더욱 더 뿌듯하고 자랑스러운 우승.

현행 포스트시즌 체재로 치루어진 이래 정규시즌 1위가 아닌 순위의 팀으로는 최초로 우승한, 진정한 Underdog의 모습을 보여준 베어스!

매번 승자가 바뀌는 게 스포츠 세계이지만, 어찌 되었든, 긴 시간의 기다림 끝에 당당하게 15년의 챔피언이 된, 내가 사랑하는 두산 베어스!

이래서 야구를, 아니 베어스 야구를 끊지 못하나 보다.

@중계 끝나고 벌어진 경기장 내에서의 우승 축하 파티는 올갱님의 블로그에서 사진으로 확인하세요.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

화수분 야구의 맞대결, 두산 일단 앞서 나가다.

2년전 5전 3승2패, 그것도 한 팀이 2승 후 상대팀이 3연승을 한 리버스 스윕이라는 명승부를 보여주며 전쟁을 벌였던 넥센과 두산이 2015년 준플레이오프에서 다시 만났습니다.

사실 2013년의 준플레이오프는 내용 상으로는 양 팀이 서로 이기라고 떠먹여주던 팬들 입장에서는 억장이 무너지는 경기였습니다. 양 팀 모두 베테랑들이 다 은퇴 또는 다른 사정으로 제 역할을 못 해주고, 겨우 주전을 꿰찬 막 중견으로 들어선 선수들과 1군 풀타임이 1,2년 밖에 안 되는 아기들로 구성이 되서 포스트 시즌의 압박감을 잘 이겨내지 못했었죠.

그러나, 2년만에 순위를 바꿔서 만난 두 팀은 당시 그 선수들이 제대로 성장해서는 오늘은 제대로 된 진검 승부를 보여줬네요.


올해 부상으로 에이스, 그리고 연봉 킹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두산의 니퍼트는 2년전 구원 등판을 자청했다가 3점홈런을 맞고 무너지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는 등 포스트 시즌에서만은 그닥 좋은 결과가 없었었죠. 하지만, 오늘은 왜 그가 단순히 용병이 아니라 '니느님'으로 불리는지를 제대로 보여준 투구를 했습니다. 큰 키를 이용한 직구를 내리꽂으며 빠른 승부를 보임으로써 7회까지 호투를 보여주며, 팀이 역전할 발판을 만들어줬습니다.

하지만, 올 시즌을 제대로 뛰지 못한 그 여파는 단 2개의 실투에서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몸쪽 높게 들어가긴 했지만, 예전같았으면 150대의 직구에 타자들이 밀리곤 했는데, 이 공이 가볍게 날리다 보니 박동원, 그리고 박병호에게는 승부구로 힘을 다해 던졌음에도 불구하고 몸쪽 높은 150의 그 공이 홈런으로 이어지더군요. 고종욱, 박동원, 김하성 등 2년전에는 후보군에 있던 선수들이 급성장한 그 뒤에는 자신의 기록보다는 팀배팅에 충실했던 2년연속 50홈런의 박병호(오늘도 홈런 하나에 희타로 2타점)가 있었죠. 덕분에 넥센은 실제로 전체 경기를 계속 이겨나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두산 역시 그리 녹녹하진 않았습니다. 3,6,9 놀이 하느라 3번 6번 9번에 위치한 민병헌, 오재원, 김재호가 자꾸 흐름을 끊는 모습을 보이며 공격이 그리 원활하지는 않았지만, 이제는 베테랑들과 용병 사이에서 당당히 자기 자리를 잡은 정수빈 그리고 허경민이 팀의 공격을 이끌었습니다. 첫 득점도 이 둘이 만든 무사 1,3루에서, 두번째 득점도 정수빈의 적시타, 3번째 득점도 이들이 만든 만루찬스에서 나왔죠.
그리고 넥센의 박병호만큼이나 메이저리그행이 가능할 거라고 회자가 되고 있는 김현수도 예전의 조급한 2땅이 아닌 팀을 위한 타격과 출루를 기록하는 등 이제는 팀의 중심으로서의 모습도 보여주더군요.


결국, 양 팀 모두 선발과, 타선에서는 팀 기둥과 신참들이 부담감 있는 1차전을 잘 치뤄준 반면, 차이점이 발생한 것은 양 팀 모두 약점으로 지목이 되었던 불펜이었습니다.

시즌 초반에는 윤명준, 노경은이 방화범으로, 시즌 후반에는 잘 던지던 진야곱 등이 자꾸 구멍이 되면서 그나마 쓸만하다고 한 함덕주와 이현승, 그리고 원래 미국에선 불펜이었던 스와잭 포함 이현호, 허준혁 등을 모두 불펜으로 내린 두산. 
니퍼트에 이어 나온 함덕주, 스와잭, 이현승 모두 빠르게 정면승부를 보였습니다. 이게 2:2로 따라갔다가 바로 3:2로 실점하는 모양새로 이어지긴 했지만, 적어도 빠르게 수비를 마무리할 수 있어서 흐름을 이어나갈 수 있었습니다. 

호투하던 양훈을 생각보다 빨리 내려버리면서 손승락, 한현회, 조상우 단 3명만으로 포스트 시즌 전체를 꾸려가야 하는 넥센 불펜은 결국 과부하로 인해 자멸하고 말았습니다. 와일드카드 전에서도 투구수가 많았지만 1차전으로 끝내 큰 영향이 없을 거라고 봤지만, 계속되는 타자들과의 풀카운트 접전에 손승락, 조상우는 모두 40개 가까운 투구수를 기록하면서 점수까지 내주고 마는 모습이 되었습니다. 선발로 쓰던 김택형을 결국 연장에 내 봤지만 경험 부족, 기세 부족이었죠.


일단은 정수빈/허경민/박건우/최주환 등 두산의 화수분들이 이제는 제대로 성장했음을 알리며 1차전을 가져오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는데, 시즌 막판 기세가 오르던 최주환과 박건우가 부상으로 선발로 나오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꾸만 바닥으로 내려가고 있는 민병헌/오재원이 제 역할을 해 주지 못한다면, 1차전처럼 끌려가는 상황이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거기다, 내일 선발은 둘 다 상대방과의 성적은 좋지 않았던 투수들인지라, 어느 한 팀이 초반에 대량득점을 하면 그대로 끝날 공산이 커 보입니다. 그리고, 잠실에서도 홈런포의 위력을 보인 넥센쪽이 대량득점 승리에 더 가까워 보이구요. 

장원준이 잘 버텨주고 두산 타자들이 초구 놀이만 하지 않는다면 두산의 뒷심이 그렇지 못하다면 넥센이 1승1패로 목동에서 역전극을 노리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뭐, 팬심으로는 두산이 이겼음 좋겠습니다. ㅎㅎㅎ 

2011년 10월 8일 토요일

2011 시즌, Bears의 마지막 경기



다사다난했던 2011 Bears의 한 해, 위 사진의 두 선수만 빛났던 Season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나? 

Sunny야 내년에도 본다고 하지만, Dustin은 정말 어쩌나...... Camcorder로 동영상을 찍다가 찍은 사진이라서 화질은 그냥 그렇지만, 아무튼 어떻게 딱 찍은 게 저 두 선수만 잡혔는지...... 그냥 알흠다우면서도 가슴이 시린 사진이네 쩝..

내년엔 좀 잘 해보자 곰들아.

20241130 한국전력 - 경품 당첨

 V존인가 예매했다가 승리해서 추첨으로, MVP의 싸인볼을 받게 된...